티스토리 뷰

반응형

1982년 이전에는 500원이 동전이 아닌 지폐였고 이순신 장군님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1982년 500원 동전이 사용되기 시작되면서 이순신 장군님은 100원 주화에 학은 500원에 새겨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주화의 액면가와 중요도가 반드시 비례하는 건 아니지만 그럼에도 상식적인 수준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이순신장군님보다 학이 5배나 비싼 동전에 채택이 되었을까? 이런 궁금증으로 500원 동전과 학에 대한 뒷 이야기와 재미있는 내용들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500원 주화 두루미

 

1. 500원 동전에 등장하는 학? or 두루미? 의 의미

우선 500원 동전 속에 등장하는 새가 학인지 두루미인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기고 하는데요, 사실은 둘 다 같은 두루미라고 합니다. 순우리말로는 '두루미'이고 한자어로 '학이니까 사실상 둘 다 사용해도 괜찮다는 결론이네요. 가능한 순우리말을 사용하면 좋을 듯해서 지금부터는 두루미로 통칭하겠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처럼 두루미는 한국 민속학이나 신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데요, 만나는 사람에게 복을 내리고 소원을 들어주고, 번영을 가져온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또  천년을 살고 신비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져 왔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에게 장수, 행운, 행복을 상징합니다. 아름답고 장엄한 외모를 가진 두루미는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고 초월과 깨달음의 상징으로도 되어 한국 예술과 문학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2. 한국 정체성의 상징인 두루미 

두루미는 신화적 의미를 넘어 한국 문화에서 특별한 정체성을 보여줍니다. 두루미는 한국의 자연적인 아름다움과 회복력을 보여주고 인간과 자연 사이의 조화로운 공존을 나타내며 한국의 국보로 여겨져 왔습니다. 특히, 두루미의 서식지역할을 하는 습지는 한국 생태 유산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한국의 아름다운 풍경을 상징합니다. 두루미는 한국의 전통 그림, 공예품, 시에 자주 묘사되는데, 이를 통해 우아함과 순수함 그리고 조화. 이 세 가지 한국적 가치를 구현해 냅니다. 한국 정체성의 상징인 두루미를 지폐에 새겨넣음으로써 현대 화폐와 과거의 심오한 예술적 표현을 연결하면서,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지폐에 대한 상징적 의미 

한국 지폐에 두루미가 포함된 것은 문화적 의미와 실용적인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문화적인 차원에서 두루미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치와 염원을 시각적으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멋진 두루미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500원 주화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민속에 대한 자부심과 연결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두루미가 부와 번영을 상징하기 때문에 사람들 게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믿게 합니다. 돈을 이러한 긍정적인 상징물인 두루미와 연결시킴으로써, 500원 주화는 풍부함과 재정적인 행복이라는 낙관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살펴본 것처럼 한국 지폐에서 학의 존재는 단순한 미학 그 이상인 것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두루미는 단순한 새가 아닌 뿌리 깊은 문화유산, 상징성, 한민족의 행운을 염원하는 상징 하면서 동시에 장수, 지혜, 행운의 가치도 구현해 냅니다. 아름답고 우아한 두리미를 화폐를 새겨넣음으로써 한국은 문화적 정체성을 포용하고 풍부한 민속과 연결되며 번영과 조화에 대한 열망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500원 동전을 사용할 때 잠시 시간을 내어, 두루미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감상해 보면 어떨까요? 두루미 덕분에 그날 더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날지도 모르니까요. 

 

 

보너스 정보! 

Q. 왜 10원에는 다보탑 &  50원에는 보리가 새겨져 있을까요? 

한국 동전에서 다보탑과 보리를 새겨 넣은 이유는 학과 같이 동전을 만들 당시 국민들의 정서를 반영하려는 의도입니다. 50원에 새겨진 다보탑은 전통적으로 불교문화를 숭상했던 우리나라의 정서를 담고자 했습니다. 다보탑에는 선불교에서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던 많은 경전들이 저자 되어 있었으며, 건축학적으로 그 우수성을 검증받은 문화유산입니다. 다보탑을 통해 불교의 지혜와 깨달음을 반영하고 우리나라의 뛰어난 건축 기술을 상징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10원에 새겨진 보리는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재배된 중요한 농작물 중 하나로 보리를 통해 농업적 뿌리를 반영하고 농업의 번영과 생계를 상징하고자 했습니다. 두루미와 마찬가지로 다보탑과 보리의 상징성을 통해서 한국의 풍부하고 오랜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 또 한국 사회를 형성한 가치들을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반응형